유책배우자의 이혼청구: 현실과 법적 접근
1. 유책배우자, 이혼 청구가 가능할까?
법적 원칙과 허용 사례
유책배우자는 혼인 파탄의 책임을 가진 배우자를 의미합니다. 대한민국 민법은 유책배우자의 이혼청구를 엄격히 제한하고 있습니다. 이는 혼인 관계에서 피해를 입은 배우자의 권리를 보호하고자 하는 법적 원칙 때문입니다.
하지만 법원은 다음과 같은 특정 상황에서 유책배우자의 이혼청구를 예외적으로 받아들입니다:
혼인이 사실상 파탄 난 경우
오랜 별거로 관계 회복이 불가능한 경우
상대 배우자가 이혼에 동의한 경우
사례 이야기
5년간 별거 상태로 지내던 K씨는 외도로 인해 혼인 관계가 파탄 난 책임을 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배우자가 별거 후 새로운 가정을 꾸렸고, 이를 이유로 이혼 청구를 받아들인 판결이 있었습니다. 이런 사례는 매우 제한적으로 인정되며, 혼인 관계의 사실상 종료를 입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